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캐드wipeout
- 스케치업부엌모델링
- 유용한캐드팁
- 노량진소복식당
- 캐드팁
- 돌출시키기
- 신정동일식
- 캐드오류
- 캐드선두께설정
- 캐드유용한팁
- 목동초밥집
- 스케치업부엌
- 포토샵팁
- 오토캐드
- 포토샵
- 스케치업
- 스케치업단면
- 캐드점
- 스케치업팁
- wipeout
- 스케치업모델링
- pushpull
- 스케치업이미지내보내기
- 스케치업렌더링
- 막국수
- 눌러당기기
- 캐드명령어
- 3d캐드
- 캐드
- 캐드점스페이스바
- Today
- Total
알레의 캐드/스케치업 팁 모음
[캐드] 그룹과 블록의 차이 본문
안녕하세요 여러분 알레입니다!
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friends1/large/003.gif)
캐드 작업을 하다보면 여러 객체들을 묶어야 하는 일이 생깁니다.
테이블과 의자 세트를 그리거나 문, 신발장 등등 라인이 여러 개가 들어가게 되면 그것을 묶는 것이 편하죠.
그래야 이동을 하거나 복사를 할 때 편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이렇게 객체를 묶는 명령어에는 group 과 block 이 있어요.
둘 다 객체를 묶는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명령어가 다른 만큼 차이점도 존재하겠죠?
오늘은 group 과 block 의 차이점에 대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.
오늘도 따라와주세요~
이런 테이블과 의자 세트 도면을 가지고 왔습니다.
group 과 block 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테이블과 의자 도면을 2개 복사해놓았어요.
왼쪽은 group 을, 오른쪽은 block 을 하겠습니다.
group 의 단축키는 g 이고 block 의 단축키는 b 입니다.
왼쪽은 group 을, 오른쪽은 block 을 해주세요!
저처럼 객체를 먼저 선택한 후에 명령어를 입력해도 되고
명령어를 먼저 입력한 후에 객체를 선택해줘도 됩니다.
객체선택과 명령어 입력의 순서는 상관이 없어요~
순서가 상관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부분은 다음에 한 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(◞♥ꈍ∇ꈍ)◞♥
group 과 달리 block 을 할 때는 새로운 창이 하나 뜹니다.
block 의 이름을 지정해줘야 하는데요.
나중에 이 block 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이름으로 지정해주셔도 됩니다.
예를 들어, 테이블과 의자 세트이기 때문에 table set 혹은 table chair set 로 지정해주는 것이죠.
이렇게 성의있이 지정하지 않아도 그냥 아무렇게나 지정해줘도 괜찮습니다.
저는 table set 로 지정해볼게요.
그리고 ok, 확인을 눌러줍니다.
그럼 객체를 클릭했을 때 이렇게 묶여 있는 상태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여기서 group 과 block 의 차이점을 알 수 있어요.
일단 첫 번째. 묶여있는 상태가 둘 다 다릅니다.
그룹은 객체 테두리의 사각형이 그려져있고 가운데에 기준점이 있습니다.
블록은 표시되는 사각형없이 객체만 파란색으로 표시되고 있어요.
그래서 객체를 클릭했을 때 이것이 group 으로 묶여있는지 block 으로 묶여있는지 알 수 있답니다~
그리고 group 과 block 의 또 다른 차이점은 바로 수정 가능 여부입니다.
group 한 객체는 더블클릭했을 때 group 에 대한 정보창이 뜹니다.
block 한 객체도 역시 더블클릭했을 때 block 에 관한 정보창이 뜹니다.
여기서 이전에 지정했던 이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나중에 작업을 하다보면 block 한 내역이 더 많아지는데 여기서 찾기 위해선 이름을 지정해주는 것도 좋겠죠?
하지만 원하는 block 을 더블클릭하면 알아서 그 block 의 정보창이 뜨기 때문에 편하신대로 작업해주셔도 됩니다^^
여기서 내가 지정했던 이름과 도면이 맞는지 확인하고 ok 를 눌러 넘어갑니다.
그럼 이렇게 그레이 바탕의 화면이 뜨며 block 했던 객체들만 보이게 됩니다.
바로 여기서 수정을 할 수가 있습니다.
block은 묶어놨던 객체를 해체할 필요없이 그대로 block 에 들어가서 수정이 가능한 거죠.
테이블의 위치를 한 번 옮겨보겠습니다.
그리고 상단에 close block editor 를 눌러줍니다.
변경사항을 저장하고 종료할 것인지 한 번 더 묻는데 첫번째 save the changes to table set 을 눌러주고 종료합니다.
그럼 이렇게 block 이 변경된 상태가 확인이 됩니다.
group 은 더블클릭을 하면 group 에 대한 정보창만 뜨지만
block 은 묶어놨던 객체들을 수정할 수 있는 창으로 연결이 됩니다.
그래서 굳이 해체하지 않아도 block 을 수정할 수 있는 것이죠!
group 은 수정하기 위해서는 해체해주어야 하고 수정한 후에 다시 group 으로 묶어줘야 합니다.
group 과 block 을 해체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볼까요?
여기서 group 과 block 의 세 번째 차이점을 알 수 있습니다.
group 을 해체할 때는 ungroup 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.
단축키는 없기 때문에 ung 까지 입력하면 아래에 ungroup 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block 을 해체할 때는 explode 라는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.
join 한 객체를 해체할 때와 같은 명령어이죠.
단축키는 x입니다.
그렇게 하면 두 묶음 다 묶기 전으로 돌아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~
이렇게 group 과 block 의 차이점을 3가지 알아보았어요.
첫 번째는 group 과 block 이 묶여있는 상태가 다르다는 것.
두 번째는 group 을 묶여있는 상태에서 수정할 수 없고, block 은 묶여있는 상태에서도 수정할 수 있는 것.
세 번째는 group 과 block 의 해체 명령어가 다르다는 것이였어요.
참고하셔서 객체를 묶을 때는 그 상황에 맞춰 group 과 block 작업하시길 바랄게요.
그럼 안녕,
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friends1/large/008.gif)
'디지털 > 캐드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캐드] 점스타일 ddptype 변경 방법 (0) | 2021.10.12 |
---|---|
[캐드] block 편집창 들어가지 않고 간단하게 수정하는 법 (1) | 2021.10.11 |
[캐드] join과 group의 차이점 (0) | 2021.10.09 |
[캐드] join 의 순기능 (0) | 2021.10.08 |
[캐드] 명령어 단축키 변경하는 방법 (1) | 2021.10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