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스케치업부엌
- 스케치업팁
- 돌출시키기
- 캐드유용한팁
- 캐드오류
- 스케치업모델링
- 스케치업부엌모델링
- 포토샵
- wipeout
- pushpull
- 막국수
- 신정동일식
- 눌러당기기
- 포토샵팁
- 스케치업이미지내보내기
- 캐드선두께설정
- 캐드
- 노량진소복식당
- 목동초밥집
- 캐드명령어
- 3d캐드
- 스케치업렌더링
- 캐드팁
- 캐드wipeout
- 캐드점
- 오토캐드
- 스케치업
- 유용한캐드팁
- 스케치업단면
- 캐드점스페이스바
- Today
- Total
알레의 캐드/스케치업 팁 모음
[캐드] join 의 순기능 본문
안녕하세요 여러분 알레입니다~
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friends1/large/001.gif)
오늘은 캐드의 다양한 명령어 중에서 join 에 대해서 알아볼거예요.
캐드는 모두 그 기능을 알 수 있는 이름으로 명령어가 되어있죠.
line 은 선을 그리는 명령어이고, rectangle 은 사각형을 그리는 명령어인 것처럼요!
join 의 뜻은
1. 연결하다[되다], 잇다
2. (하나가 되도록) 합쳐지다
의 뜻이 있습니다.
그러니까 여러개의 선을 하나가 되도록 잇고 합쳐지는 기능이란 걸 알 수 있겠죠?
그래서 이런 역할이 필요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가 join 일 거예요.
하지만 이런 경우에 한정된 게 아니라 다른 경우에 또 사용할 수 있기도 해요.
흔히들 알고있는 상황이 아닌 다른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!
먼저 line 명령어를 입력하여 선들을 그려주었어요.
중간에 명령어를 종료하지 않은 채 연속으로 그려주었습니다.
그럼 이 긴 선이 모두 연결된 상태로 클릭이 되느냐?
그것은 아닙니다.
중간에 명령어를 종료하지 않고 연속으로 선을 그렸지만 클릭했을 때 선들은 모두 구분되어 있으며
제가 찍은 점들이 선이 나뉘어지는 기준이 되었습니다.
이 line 들을 하나만 선택했을 때 하나의 객체로 인식하도록 합치고 싶습니다.
그렇다면 join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어요.
join 의 단축키는 j 입니다.
저처럼 객체를 먼저 선택한 후에 명령어를 입력해도 되고
명령어를 먼저 입력한 후에 객체를 선택해줘도 됩니다.
객체선택과 명령어 입력의 순서는 상관이 없어요~
순서가 상관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부분은 다음에 한 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(◞♥ꈍ∇ꈍ)◞♥
join 을 입력하면 이렇게 선분 하나만 클릭해도 전체 객체가 선택되며 하나로 합쳐지게 됩니다.
현재 객체 전체를 클릭했을 때, 선의 가운데에 정사각형의 점이 표시되는지 직사각형의 점이 표시되는지 확인해본다면 객체가 묶여있는 것인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.
위에 join 을 하기 전에는 선의 가운데에 정사각형의 점이 표시되었고
join 을 한 후에는 선의 가운데에 직사각형의 점이 표시되었습니다.
지금과 같은 경우가 바로 흔히 join 명령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됩니다.
여러 개의 선들을 하나로 합쳐 하나의 객체가 되도록 하는 경우이지요.
하지만 이 선들이 중간에 끊어져 있으면 무용지물입니다.
꼭 하나가 될 수 있도록 객체들은 붙어있는 상태여야 합니다.
이렇게 중간이 끊어져있다면 객체 전체를 선택하고 join 을 해도 왼쪽 선들 한 덩어리, 오른쪽 선들 한 덩어리 묶여있게 됩니다.
그래서 전체 선들을 이어주고 싶다면 중간에 다리를 만들어줘야 되겠죠?
만약 이 join 한 선들을 분해하고 싶다면 해체하는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.
explode 명령어이고 단축키는 x 입니다.
그럼 join 하기 전으로 돌아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^^
여기까지가 일반적으로 join 을 사용하는 경우이고 다른 경우를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!
이렇게 중간이 끊겨져 있는 라인을 두 개 그려보았습니다.
이걸 다시 일자로 연결하고 싶은데 중간에 line 을 하나 더 그려서 연결하게 되면
세 선분이 만들어지겠죠?
그 세 선분을 join 하면 하나로 합쳐지지 않냐 하시겠지만 그렇게 되면 위 사진처럼 세 선분이 연결된 것이 티가 납니다.
그래서 중간에 선을 만들지 않고 아주 간단하게 선을 일자로 연결해보겠습니다.
바로 2개의 line 을 잡고 join 을 해주는 것입니다.
이렇게 되면 두 개의 선분이 이어져 하나의 선으로 만들어지게 됩니다.
여러 개의 선을 합치는 용도로 join 을 많이 사용하지만 이렇게 중간이 비어있는 선을 하나로 연결할 때도 사용할 수 있는지 의외로 모르시는 경우가 많습니다.
이제 라인의 중간이 비어었다면 이렇게 쉽고 간단하게 연결해줄 수 있겠죠?
하지만 이렇게 했는데 안 된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세요.
왜 안되는 걸까? 작업하는 환경을 지켜봤더니 중요한 점을 놓치는 경우였습니다.
바로 두 개의 선분이 서로 평행한 위치에 있지 않은 거예요.
두 개의 선분이 이어질 수 있도록 서로 같은 선 상에 위치해있어야 하는데 약간만 엇갈려 있어도 그 선은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join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.
두 line 이 같은 선 상에 있어야 하는 것을 알지만 또 안된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신데
그럴 때는 두 line 을 직교모드 F8 번을 키셨는지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๑•‿•๑
겉으로 보기에는 일직선 상에 있는 것처럼 보여도 직교모드가 켜져 있지 않는 한 살짝 틀어지는 경우가 있어서 꼭 확인해주셔야 합니다.
기본적으로 캐드 작업할 때는 직교모드는 필수이죠!!
이렇게 join 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2가지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했습니다.
객체를 연결하는 또 다른 명령어인 group 과도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이 부분에 대해서도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그럼 유익한 시간이 되셨길 바라며 이만 물러가겠습니다 총총,,,
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friends1/large/010.gif)
'디지털 > 캐드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캐드] 그룹과 블록의 차이 (0) | 2021.10.10 |
---|---|
[캐드] join과 group의 차이점 (0) | 2021.10.09 |
[캐드] 명령어 단축키 변경하는 방법 (1) | 2021.10.07 |
[캐드] 하위명령어로 객체스냅 활용하기 (0) | 2021.10.06 |
[캐드] 점을 이용한 또다른 기능3 (0) | 2021.10.01 |